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클래스접근
- qqq
- 인스턴스
- 넷플릭스etf
- 클래스속성
- 메타버스
- robo etf
- 주식유튜버
- 독일겨울날씨
- 미국주식
- TQQQ
- UpperCaseCamelCasing
- uml다이어그램
- silvester
- 파이썬
- 메타버스etf
- 메타버스예시
- 미국주식etf
- 독일명절
- 주식
- 로봇주식
- 인공지능etf
- 독일기온
- 지수추종etf
- 모튼틸덤
- 해외주식
- 웅덩이매매법
- 절차지향프로그래밍
- 메타버스기업
- 메타버스투자
- Today
- Total
DAON's studio
1억 모으기? 종잣돈 모으기? 어떻게 계획 할 것인가? (feat. 복리계산기) 본문
자본주의 시대에 살고 있는 지금. 자산이 또 다른 자산을 낳는다고 하여 자산관리와 투자 열풍인 대한민국.
하지만 종잣돈이 없다면 투자를 할 수도, 소액으로 투자를 한다 해도 수익이 미미할 수 밖에 없다.
요즘 유튜브에 보면 유난히 "1억을 일단 모아라", "5000만원을 일단 모아라" 등등의 썸네일을 자주 찾아 볼 수 있다.
다소 자극적인 썸네일 일 수 있으나 일리가 있는 주장인 것이
투자를 했을 때 수익률을 체감할 수 있거나, 유의미한 현금 흐름이 창출될 수 있는 시점을 5000만원에서 1억으로 보는 것 같다.
그렇다면 1억 모으기 어떻게 계획 할 것인가?
다양한 의견을 이 곳에 종합, 요약해본다.
( 아래 사진은 그냥 유튜브에서 1억 모으기에 관한 영상들의 썸네일 몇 개를 가져와봤다. 추천영상이라기 보다는 이 테마가 요즘 핫하더라.. 하는 것에 대한 뒷받침 자료랄까.. 각각 상승효과TV, 서대리TV, 미국주식으로 부자되기-미주부 채널의 영상이다. )
1. 1억 모으기 투자 없이 vs 투자 하면서
1억을 모으는 방법에 대해서는
투자 초보인 경우에는 성급히 투자를 시작하다가 돈을 잃어서 종잣돈이 좀처럼 안 모이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투자 없이 일단 노동수익으로 돈을 모으라는 조언과, 적은 양으로 일단 투자를 시작하면서 감을 익혀야 큰 돈을 갖게 되었을 때 덜 실수한다는 의견으로 갈린다.
모두가 처한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절대적으로 맞고 틀린 답은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가지 나은 답을 내야 한다면, 과감한 트레이딩이 아니라 안정적인 방법으로 적립식 투자를 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적은 돈일 때에 이미 투자를 시작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을 한다. 현금과 투자의 비중을 잘 나누던지, 초보여서 리스크를 감당 할 능력이 적음을 감수하고 소액만 투자하던지 하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노동수익이 높은 사람이라면 굳이 처음부터 투자를 하지 않아도 1억이 모일 때 까지 시간이 어차피 얼마 안걸리기 때문에 차라리 그 시간에 공부를 탄탄히 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수익을 높이기 위한 부업에 대한 글은 나중에 더 자세히 포스팅 하기로..
2. 공통된 의견 : 지출 줄이기
투자 초보가 10% 수익을 내기 보다 10% 절약하는 것이 더 쉽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
맞는 말인 것 같다. 커피를 한달에 10잔 사 마실 것을 9잔으로만 줄여도, 담배를 한 달에 15갑 피울 것을 14갑으로만 줄여도, 핸드폰 요금을 알뜰폰 요금으로 변경하거나 매주 주말마다 친구를 만나서 술 마시고 놀지않고 한 주만 건너 뛰어도 꽤 많은 돈을 줄일 수 있다.
자신의 매월 고정지출과 변동지출을 따져보고 가계부를 쓰면서 무의미한 지출을 줄여보면 좋겠다.
이 쯤에서 절약이라는 테마로 좋은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유튜버가 있어서 잠깐 소개한다.
채널명은 김짠부 재테크 이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참고하시길..
3. 목표 수익률과 목표 기한을 정하기
명확한 목표를 설정하고 자주 상기하는 것은 잠재의식을 자극하고 동기부여를 해준다.
지금까지 모은 돈은 얼마인지, 앞으로 매달 얼만큼 주식에 투자할 수 있는지, 언제까지 얼만큼의 돈을 모으고 싶은지, 목표하는 수익률은 얼마인지 한 번 생각하고 적어보자.
그렇다면 투자의 방향과 포트폴리오의 구성에 대한 계획이 어느정도 잡힐 것이다.
그 것을 계획하는 과정에서 사람에 따라 꽤나 복잡하게 느껴지는 계산을 해야 하는데, 도움이 될까 하여 복리계산기 웹사이트를 소개한다.
thecalculatorsite.com 이라는 싸이트인데 무료이고, 사용 화면은 다음과 같다.
참고로 Initial balance 는 현재 갖고 있는 초기 자금이고, interest rate 은 yearly로 했을 때 연평균 수익률, Deposit amount는 monthly로 했을 때 매월 추가 할 금액 이라는 뜻이다.
시드머니 마련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면 좋겠다.
'경제 이야기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 이야기 - AI (인공지능), 로봇 산업에 투자하고 싶다면? (BOTZ, IRBO, ROBO 분석) (0) | 2021.09.29 |
---|---|
ETF 란? 일반 펀드와 다른 점은? ETF 매매는 어떻게? (0) | 2021.09.28 |
[투자공부일지] 카카오 주가 대폭락으로 배운 점 (카카오 주가 하락 이유, 대책) (0) | 2021.09.08 |
[미국주식] 시작하기 - 미국주식 장점, 단점 (feat. 소수점 매매, 소수점 투자) (0) | 2021.09.08 |
[투자공부일지] 주린이들을 위한 주식/증권 정보 얻는 곳, 주식 시작을 위한 기본 꿀팁 (2) | 2021.09.07 |